한기석 기자
서울 노원구가 최근 자살률 상승세가 뚜렷한 사회적 위기에 대응해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연간 자살자 수를 100명 이하로 낮추기 위한 종합 대책을 가동하고 있다.
노원구정신건강복지센터 찾아가는 마음건강 행사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7.3명으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노원구 역시 같은 해 자살률이 24.1명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높아 종합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구는 보건과 복지를 아우르는 통합 접근을 목표로 부구청장을 단장으로 하는 ‘자살예방추진단’을 구성했다. 이는 지난 2010년 전국 최초로 자살예방전담팀을 신설한 이래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전 부서가 참여하는 대응 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기존 보건소 중심의 사업 구조를 재정비한 점이 특징이다.
이번 종합계획은 ▲자살위험군 조기 발굴 강화 ▲지역 중심 통합적 자살 예방 ▲생명존중 환경 조성이라는 3대 전략을 중심으로 36개 사업이 추진된다. 이 중 신규 사업이 11개, 기존 사업 개선이 5개다.
핵심 사업은 ‘생명존중 안심마을’ 조성이다. 동 단위에서 지역 내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살위험군을 발견하고, 위험 수단 차단 등을 통해 주민 중심의 생명 존중 문화를 뿌리내리겠다는 구상이다. 해당 사업은 올해 3개 동에서 시작해 2027년까지 10개 동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자살률이 높게 나타나는 50대 이상 1인 가구에 주목해, 중장년층이 함께 요리·식사·야외활동을 하며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한다. 이와 함께, 자살률이 전 연령대에서 높은 70대 이상 독거 어르신을 대상으로 위험군 조기 발굴 및 복지 연계, 경로당 244곳을 통한 생명존중 교육도 시행된다.
정신건강 문제가 주요 자살 원인으로 파악됨에 따라, 노원구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청년기관, 복지관, 자활센터, 신용회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도 강화된다. 특히, 공공병상 협약병원 및 대학병원을 통한 긴급 개입이 가능하도록 관리망을 정비했으며, 고위험군으로 파악된 대상자는 자살위험성 평가 후 8주간 위기 상담 및 정기적인 안부 확인을 받는다.
오승록 노원구청장은 “높은 자살률이라는 통계 뒤에는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개입으로 막을 수 있는 가능성 또한 함께 존재한다”며 “자살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죽음으로 인식하고,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