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석 기자
중랑구가 미세먼지 저감 필터를 장착한 관용 대형버스 시범 운행에 나서며, 생활 밀착형 친환경 정책을 통한 ESG 실천에 본격 돌입했다.
중랑구가 대형버스에 미세먼지 저감 필터를 설치하고 첫 시범 운행을 시작한다.
서울 중랑구(구청장 류경기)는 구청 소속 관용 대형버스 5대에 미세먼지 저감 필터를 시범 설치하고, 2025년 8월부터 본격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차량 운행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기 중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친환경 정책으로, 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정책의 일환이다.
장착된 필터는 차량 전면에 부착되며, 운행 중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빨아들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 이동만으로도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어 실효성이 높고, 시민 체감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저감 필터 1㎡당 연간 초미세먼지(PM2.5) 생성물질 흡수량은 약 4,128g에 달한다. 구에 따르면 대형버스 5대를 기준으로 했을 때, 연간 약 나무 374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공기 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구는 시범 차량에 대한 정기적인 필터 교체와 차량 성능 점검을 통해 운행 효율성과 유지관리 측면도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또한 시범사업의 효과를 면밀히 분석한 뒤, 향후 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화물차, 청소차 등 관용차량 전반으로의 확대 적용도 검토할 예정이다.
중랑구는 최근 기후위기 대응과 주민 건강 보호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번 필터 시범 사업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추진됐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생활 속에서 실현할 수 있는 친환경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출발점”이라며 “주민의 건강을 지키는 생활환경 개선에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중랑구는 향후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필터 성능 검증과 개선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관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ESG 모델 확산도 검토 중이다.
이번 시범 운행이 미세먼지 저감 기술의 대중화와 도시형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